ssh-key-gen
·
Linux/Note
ssh-keygen -t dsacat ~/.ssh/id_dsa.pub | ssh [원격ID]@[원격HOST] "cat >> .ssh/authorized_keys" 데이터 원본이 있는 서버를 A서버데이터를 받아야 하는 서버를 B서버 라 하겠다. [root@serverB ~]# ssh-keygen -t rsa-t옵션은 생성하는 파일의 타입을 정하는 옵션이다.Generating public/private rsa key pair.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root/.ssh/id_rsa):[ENTER]Enter passphrase (empty for no passphrase):[ENTER]Enter same passphrase again:[ENTER]Your identif..
single mode, Root 패스워드 초기화, P/W 만료기간 설정
·
Linux/Note
재부팅 후 'e'키를 눌러 편집기 진입 2. ro -> rw  ,    rhgb quiet ~~ -> init=/bin/sh 로 변경후 ctrl+x 3. 만약 / 파티션이 read only로 빠졌을 경우#e2fsck -pv /dev/sda3#mount -o remount,rw / 4. reboot
SAN,NAS,HDD
·
Linux/Note
SAN: Storage Area NetworkSAN 방식은 여러 스토리지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고, 이 네트워크에 서버를 연결해 스토리지에 접속한다는 개념입니다. 네트워크에 묶인 스토리지들은 가상으로 중앙화된 논리 볼륨(logical volume)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각 서버에 공간을 논리적으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SAN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SAN 스위치라는 기기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SAN 스위치는 위에서 설명 드렸던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스토리지와 서버를 중계하는 역할을 합니다SAN 환경에서는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블록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블록이라는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것을 말합니다.데이터베이스8..
root로 접근못하게 설정
·
Linux/Note
vi /etc/ssh/sshd_config 로 ssh 설정 파일편집주석처리 된 PermitRootLogin 옵션의 주석을 풀고 yes에서 no로 값을 변경파일을 저장하고 # service sshd restart로 ssh 데몬을 재시작 이후 putty로 접속하여 root로 로그인을 시도하면 거부된다.
rename
·
Linux/Note
rename [변경전파일명] [변경후파일명] [대상파일]
RAID
·
Linux/Note
RAID 구성하기 (mdadm)옵션#mdadm —stop /dev/md9 : RAID 장치인 /dev/md9 삭제#mdadm —run /dev/md9 : RAID 가동#mdadm —stop /dev/md9 : RAID 중지#mdadm —detail /dev/dev/md9 : 상세내용 확인#mdadm /dev/md1 —add /dev/sdg1 : RAID에 Disk 추가#mdadm —remove /dev/md1 /dev/sdg1 : RAID에 Disk 제거   Linear Raid1. RAID 구성#mdadm --create /dev/md9 --level=linear --raid-devices=2 /dev/sdb1 /dev/sdc1#mdadm --detail /dev/md9 2. 파일시스템 포맷#mkfs...
putty 원격접속
·
Linux/Note
네트워크매니저 , 방화벽 내려주고1.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    IP확인 및 할당IP : 192.168.100.10 로 설정하였다. 2. Custom - VMnet8(NAT) 3. cmd - ncpa.cpl 4. IP 대역을 맞춰준다 (192.168.100.x) 5. Putty 접속 (위에서 설정한 192.168.100.10) 6. 연결 설정완료 ===========================================================================Linux 7#systemctl stauts sshd : ssh 서비스 상태확인#systemctl stop sshd : ssh 서비스 내리기 > 내리면 putt..
/opt/MegaRAID
·
Linux/Note
/opt/MegaRAID/MegaCli/MegaCli -ShowSummary -aALL : 어느 Disk에 Fault가 발생했는지와 정보확인
nslookup
·
Linux/Note
[root@localhost ~]# nslookupserver Default server: 127.0.0.1 Address: 127.0.0.1#53 Default server: :: 1 Address: :: 1#53server 입력 후 나오는 Default server ip가 현재 서버에 설정된 dns 주소이다.  www.nate.com 입력 후 해당문구가 나온다면 현재 설정 된 DNS 서버 주소가 응답하지 않는다는 뜻  server [DNS IP] 입력후, www.nate.com을 조회해서 잘 응답한다면 DNS 서버에 문제가 있었던것으로 확인 가능
netstat, telnet
·
Linux/Note
1. 호출되는 대상이 되는(Target) 서버의 Port가 listen 상태인지 확인타겟서버#netstat -anp 2. LISTEN상태인것을 확인하면 Tartget을 호출하는 Source서버에서 telnet을 입력#telnet targetIP port telnet 원격지IP PORT : 상태서버에 뚫려있는 PORT 확인netstat -anlp | grep PORT : LISTEN 상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