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tanix
·
Linux/Start
Update : 다른사람이 한 CPU,메모리,디스크 설정들을 확인할 수 있다.(참조)Take snapshot : OS를 최초로 설치한 순간 스냅샷을 찍어 지점을 만들어 놓는게 좋다.link : 192.168.100.230id / pw 설정 1, Create VM 2. CPU 및 메모리 설정 ( default-container ) 3. CD-ROM에 이미지파일 넣기 4. NIC추가(네트워크) 5. Power on -> launch console
TSR 로그 추출
·
Linux/Note
iDRAC7 및 iDRAC8 펌웨어 버전 2.30 이상iDRAC UI에 로그인 1-1. Overview → Server → Troubleshooting → SupportAssist1-2. Edit Collection Data** 클릭 → Collection에 포함할 데이터를 선택1-3. Collection에 포함할 데이터를 선택  2. 수집 설정참고: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사용하려면 iSM(iDRAC Service Module)이 설치되어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참고: iSM은 SupportAssist Collection에 관련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참고: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옵션은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1) iDRAC Ser..
VM Network 설정
·
Linux/Start
리눅스상의 IP와 윈도우상의VMnet8 의 IP 대역을 맞춰준다 = 192.168.100.x  이런식으로 (x의숫자는 달라도됨 같은대역이기만하면된다)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 : GATEWAY 확인리눅스상의 GATEWAY IP확인(Edit - Virtual Network Editor)서브넷 ip, 서브넷 마스크 확인 → chage settings → NAT settings윈도우 상의 VMnet8의 GATEWAY IP와 같은 IP로 설정해준다(192.168.100.1)cent 6 : service network restartcent 7 : systemctl restart networkcent8 : systemctl restart Network.serv..
CentOS 8.X
·
Linux/Start
Cent 8 설치 1. 자동 업데이트 기능 끄기#gsettings set org.gnome.software download-updates false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service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timer 2. repo 설정#cd /etc/yum.repos.d/ #mkdir backup #mv *.repo backup#vi This .repo[BaseOS] name=CentOS-$releasever - Base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BaseOS/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
커널 파라미터 적용
·
Linux/Start
#vi /etc/sysctl.conf파일시스템 관련 파라미터fs.file-max = 8000000: 동시에 열 수 있는 최대 파일 수를 지정  네트워크 관련 파라미터net.core.optmem_max = 16777216: 소켓이 추가적으로 요청할 수 있는 선택적 메모리의 최대 크기(바이트)입니다. 주로 고부하 네트워크에서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해 값을 높게 설정net.core.rmem_max = 16777216: 수신 버퍼의 최대 크기(바이트)로, 소켓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수신 버퍼 크기를 제한, 대규모 네트워크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버에서 수신 버퍼를 확장하여 성능을 높이기 위해 설정net.core.rmem_default = 16777216: 수신 버퍼의 기본 크기(바이트)를 설정, 네트워크 패킷을 ..
계정생성 default 설정
·
Linux/Start
설정파일 : /etc/login.defs설정내용 :PASS_MAX_DAYS 90PASS_MIN_DAYS 1PASS_MIN_LEN 8
coredump
·
Linux/Trouble shooting
coredump는 시스템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하는 경우 커널에서 해당 프로세스와 관련 된 메모리를 덤프시키는 파일. 해당 파일을 가지고 디버깅하여 문제에 대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서버에서는 coredump를 남기지 않도록하는게 기본 설정이다. 예를들어 java에서 1GB의 메모리를 사용하면 coredump는 수십GB의 달하는 파일을 생성하기 때문. 1. coredump 활성화 (임시적용)#ulimit -acore file size (blocks, -c) 0이처럼 가장끝의 있는 값이 0이면 coredump는 남지 않기 때문에 값 수정 #ulimit -c 1048675 (1GB로 제한) #umlit -acore file size (blocks, -c) 1048675  2. cored..
yum repository
·
Linux/Start
1. 저장소 설정파일 확인#ll /etc/yum.repos.d 2. 기존파일 백업 또는 삭제제대로 설정된 내용이 담긴 파일이 있더라도 다른 설정내역이 존재한다면 yum 사용 시 에러가 발생하므로 백업하거나 삭제한다. (확장자를 repo가 아닌 다른것으로 변경한다.) 3. 파일 수정#vi CentOS7.repo
ulimit
·
Linux/Start
1. /etc/security/limits.conf 해당파일에서 아래 내용을 추가하거나 이미 있는 항목은 아래 숫자로 수정hard nofile 65535soft nofile 32768hard nproc 65535hard nproc 32768hard core ulimitedhard core ulimited
sudo 관련설정
·
Linux/Start
1. 필요계정을 wheel 그룹에 편입시킨다.#usermod -G wheel 계정명 2. /etc/sudoers 파일의 적적한 곳에 무제한 실행권한을 부여계정명 ALL=(ALL) NOPASSWD: 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