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NAS,HDD

2024. 9. 26. 02:07·Linux/Note
반응형

SAN: Storage Area Network

SAN 방식은 여러 스토리지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고, 이 네트워크에 서버를 연결해 스토리지에 접속한다는 개념입니다. 네트워크에 묶인 스토리지들은 가상으로 중앙화된 논리 볼륨(logical volume)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각 서버에 공간을 논리적으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

SAN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SAN 스위치라는 기기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SAN 스위치는 위에서 설명 드렸던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스토리지와 서버를 중계하는 역할을 합니다

SAN 환경에서는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블록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블록이라는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 데이터베이스8: 온라인 금융 거래와 같이 빠른 속도를 요구하고 지연에 민감하며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환경에 적합합니다.
  • 가상화 환경: 가상 머신과 호스트간 빠른 입출력 속도를 제공해야 하는 대규모 가상화 구축 환경에 적합합니다.
  • 영상 편집: 후반 작업과 같은 영상 편집 작업에 있어서 빠른 전송 속도와 낮은 지연은 필수 불가결입니다. 이 때문에 워크스테이션을 DAS로 직접 연결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효율성을 위해 고성능 SAN을 사용합니다.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NAS도 마찬가지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스토리지와 연결하지만 SAN과는 다르게 이더넷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또한 스토리지를 SAN 스위치와 연결하지 않고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해 네트워크에 연결합니다.

NAS는 자체적으로 파일4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표적으로 NFS나 CIFS와 같은 스토리지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NAS의 경우 블록보다 상위 개념인 파일(file)을 저장 단위로 하고 있습니다.

  • 파일 공유: NAS의 주 용도이며, 데이터를 중앙화하고 스토리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적합합니다. 개인용부터 중소기업, 대기업 사무실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 가상화 환경: 고성능 NAS의 경우 소규모 가상화 환경을 운영하거나 가상 데스크톱 환경9을 구축하는데 적합한 성능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아카이브10: 스토리지 공간을 필요에 따라 확장할 수 있는 스케일 아웃 NAS의 경우 단순히 데이터를 묵혀 두는 방식의 아카이브가 아닌, 필요에 따라 종종 접근이 가능한 아카이브로서 적합합니다.

 

 

 

 

HDD 종류,특징

1.IDE

가장 오래된 규격으로 포트는 40개의 핀으로 구성된 직사각형이다. 데이터를 병렬로 전송한다는 뜻에서 PATA(Parallel Advanced Tachnology Attachment) 인터페이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버전별로 데이터 전송속도가 다르며 최신 규격인 UDMA6 모드에서는 초당 133.3MB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2.SATA

우리가 주변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디스크이다.이전의 IDE 방식에서 벗어나 직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규격이며, 대역폭(bandwidth)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상용화되어 가격은 싸지만 성능면에서는 IDE 다음으로 뒤떨어진다고 보면 된다.그렇다면 안쓰면 될것인가? 그렇지 않다. 요는 가격이다. 싼 가격에 고용량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ATA는 구성의 단순성과 최상의 가격/효능을 요구하는 스토리지 환경에 탁월

 

 

3.SCSI

서버나 워크스테이션 등에 쓰이는 고속 인터페이스다. 무엇보다 안정성이 높은 것이 최대의 장점이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다. 이 규격을 쓰려면 별도의 확장 카드를 달아야 한다.(따로 케이블이 필요하다.)

최신 규격인 울트라 320은 최대 320MB/초의 속도를 낸다. 최근 이를 대체하는 SAS 인터페이스가 등장하면서 쓰는 곳이 조금씩 줄고 있다.

 

 

4.SAS(Serial Attached SCSI)

SCSI 규격을 한 단계 발전시킨 것으로 이 규격 역시 서버 등의 대형 컴퓨터에 주로 쓰인다. 성능은 울트라 320 SCSI보다 좋다. 커넥터와 선은 SATA와 같은 것을 이용하지만 컨트롤러가 달라 SAS 규격의 하드디스크가 SATA 제품보다 훨씬 비싸다. SATA 규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SAS 장치에 꽂아 쓸 수는 있지만 반대로 SAS 하드디스크를 일반 SATA 인터페이스에 연결하지는 못한다.

5.SSD

이건 기존의 디스크와 약간 세대가 다르다. 구성 방식도 전혀 다르다.

기존의 SATA, SCSI, SAS 디스크가 "플래터" 를 이용하는 반면 이 디스크는 "RAM"을 이용한다.

그렇다면 위에서 한 얘기를 생각해보자.

램으로 디스크가 구성되어 있다는 건 기존의 interface 역할이었던 램과 똑같은 속도를 보장한다는 거다.

정리

  • 디스크의 퍼포먼스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고 대용량이 필요하다면 SATA를 이용할 것이다.
  • 디스크의 퍼포먼스가 꽤나 중요하나 저렴해야 한다면 SCSI를 이용할 것이다.
  • 디스크의 퍼포먼스가 대박 중요해서 가격도 불사하겠다면 SAS를 쓰겠다.
  • 이건 디스크의 퍼포먼스가 생명이다. 용량도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그러면 SSD를 쓰겠다.
반응형

'Linux >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key-gen  (0) 2024.09.26
single mode, Root 패스워드 초기화, P/W 만료기간 설정  (1) 2024.09.26
root로 접근못하게 설정  (0) 2024.09.26
rename  (0) 2024.09.26
RAID  (0) 2024.09.25
'Linux/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sh-key-gen
  • single mode, Root 패스워드 초기화, P/W 만료기간 설정
  • root로 접근못하게 설정
  • rename
Lee seongwoo
Lee seongwoo
1st System Engineer
  • Lee seongwoo
    시스템/클라우드 관리 및 기술 공부하는 블로그입니다.
    Lee seongwoo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Linux
        • Note
        • Trouble shooting
        • build
        • Work
        • Service
        • Start
        • Shell Script
        • APM
      • Docker
        • Configure
        • Command
        • Container 관리
        • Docker image 생성
        • 다양한 볼륨 활용
        • Network
      • Kubernetes
        • Chapter 1
      • Network
        • 스위치
        • 라우터
      • Windows
        • 인증서
        • 원격 접속
        • 암호 변경
        • 실행 Command
        • 사용자명 변경
        • Windows 점검
        • 방화벽
        • DB 절체(장애조치 클러스터)
      • Security
        • 보안 운영장비
        • 작업
        • 실무
      • Cloud
        • AWS
        • Azure
  • 블로그 메뉴

    • 홈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 최근 댓글

  • 최근 글

  •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Lee seongwoo
SAN,NAS,HDD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