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전송(rsync, scp)
·
Linux/Note
rsyncLocal ➡ Local mysql 의 DB 를 /home/backups/mysql 에 복제#rync -avz /var/lib/mysql /home/backups/ Local ➡ Remote Local 의 /root/data 디렉터리를 example.com 의 /home/lesstif/backup 에 복제#rsync -avz /root/data lesstif@exmaple.com:/home/lesstif/backup/ Remote ➡ Local example.com 의 /home/lesstif/data 디렉터리를 local 의 /home/lesstif/backup/ 에 복제#rsync -avz lesstif@wxample.com:/home/lesstif/data /home/lesstif/back..
취약 암호 알고리즘 조치
·
Linux/Note
1. 암호화 알고리즘 확인#authconfig —test | grep hashingpassword hashing algorithm is md5  2. 변경가능 패스워드 알고리즘 확인#authconfig —help | grep passalgo—passalgo=  3. 알고리즘 변경#authconfig —passalgo=512 —update  4. 결과 적용 확인#authconfig —test | grep hashingpasswor hashing algorithm is sha512#cat /etc/login.defs
시간 설정
·
Linux/Note
#hwclock -r : hw 시간 확인#date : sw 시간 확인 두 시간이 차이가 날경우, #date -s "2024-09-01 11:00:00"#date : 변경되었는지 확인 #hw clock --localtime --systohc : hw 시간을 os 시간으로 맞추기
방화벽 cli
·
Linux/Note
포트열기#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3/tcp#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telnet 포트닫기#firewall-cmd —permanent —remove-port=23/tcp#firewall-cmd —permanent —remove-service=telnet 정책 적용#firewall-cmd --reload 정책 확인#firewall-cmd —list-all 서비스 자동시작#systemctl enable [service]
리눅스 오픈파일 개수 관련
·
Linux/Note
/etc/security/limits.conf/ 파일의 nofile상기 파일의 nofile 같은 지정한 대상 계정 소유의 각 프로세스가 열 수 있는파일의 개수로 1개의 프로세스가 그만큼의 파일을 열 수 있게 제한.설정 겨로가는 umlimt -a 명령어 결과 중 open files 부분에서 확인 가능 #sof | grep 계정명 | wc -l상기 명령어로 출력한 결과는 해당 계정 소유의 프로세스가 열고 있는 파일 개수의 총합
yum repository
·
Linux/Note
[root@localhost ~]# df -Th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dev/sda2      ext4      18G  2.4G   15G  15% /tmpfs          tmpfs    491M   76K  491M   1% /dev/shm/dev/sda1      ext4     283M   34M  234M  13% /boot/dev/sr1       iso9660  3.7G  3.7G     0 100% /media/CentOS_6.8_Final[root@localhost Packages]# mkdir -p /localrepo/Package[root@localhost ~]# cp -rv /media/CentOS_..
vi
·
Linux/Note
I : 현재 커서 맨 앞에서부터 입력A : 현재 커서 맨 뒤에서부터 입력 Ctrl + B : 이전화면으로 이동Ctrl + F : 다음화면으로 이동 gg : 제일 첫 행으로 이동 /문자열 : 해당 문자열을 찾음n : 찾은 문자중에서 다음 문자로 이동
ulimit
·
Linux/Note
동접자가 많은 경우 구동되는 프로세스 수와 처리하게 되는 파일 수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파일ulimit [옵션]a : 모든 제한 사항을 보여줌.c : 최대 코어 파일 사이즈d : 프로세스 데이터 세그먼트의 최대 크기f : shell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파일의 최대 크기s : 최대 스택 크기p : 파이프 크기n : 오픈 파일의 최대수u : 오픈파일의 최대수v : 최대 가상메모리의 양S : soft 한도H : hard 한도ulimit 상태확인#ulimit -a : soft 설정#ulimit -aH : hard 설정ulimit 변경방법1. ulimit 명령을 통한 변경(임시)#ulimit -n 2048#ulimit -u 4096#ulimit -acore file size (blocks, -c) 0data ..
top
·
Linux/Note
시스템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가장 빠르게 파악 가능(CPU, Memory, Process)옵션 없이 입력하면 interval 간격(기본 3초)으로 화면을 갱신하며 정보를 보여줌top 실행 전 옵션순간의 정보를 확인하려면 -b 옵션 추가(batch 모드)n : top 실행 주기 설정(반복 횟수)top 실행 후 명령어shift + p : CPU 사용률 내림차순shit + m : 메모리 사용률 내림차순shift + t : 프로세스가 돌아가고 있는 시간 순k : kill. k 입력 후 PID 번호 작성. signal은 9f : sort field 선택 화면 -> q 누르면 RES순으로 정렬a : 메모리 사용량에 따라 정렬b : Batch 모드로 작동1 : CPU Core별로 사용량 보여줌ps와 top의 차이점ps..
tcpdump
·
Linux/Note
저장 : tcpdump -X -vv -w /tmp/20201104_hostname_tcmpdump.pcap port 443 -C 100M -i eth1 -Z root -s0 X : 헥사코드와 아스키형태 모두 출력vv : 더 많은 정보를 출력w : 캡쳐한 패킷정보를 파일로 저장port : 캡쳐할 포트 설정C : 저장할 파일 크기 설정i : 패킷캡쳐할 인터페이스 지정Z : 파일실행 권한 설정 추출 : tcpdump -i eth0 -w /tmp/20201104_hostname_tcmpdump.pcap port 443tcpdump -i eth1 host x.x.x.x and prot 5683eth1에서 x.x.x.x로 들어오는 패킷 추출tcpdump -n -i eth1 -vvv host x.x.x.xeth1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