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NTP 연동이 되고 있음에도 시간이 안맞는 경우
·
Linux/Trouble shooting
일부 VM에서 하이버파이저와의 문제로 NTP 서버의 시간이 아닌 cnode의 시간을 가져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아래 조치를 진행한다./etc/ntp.conf 파일에서 server 127.0.0.1 부분을 주석처리sysctl -w xen.indepndent_wallclock=1/etc/sysctl.conf 파일에 xen.independent_wallcolck=1 추가
리눅스에서 cpu,mem 사용률 증가원인 분석방법
·
Linux/Trouble shooting
관제 솔루션에서 발생시간 확인last 명령어로 문제 발생 당일에 접속한 사용자 계정들을 추려냄해당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서 .history 파일 내용 확인.history 파일에 타임스탬프가 있을 경우 타임스탬프 값을 시간으로 변환문제 발생 기간과 일치하는 명령어를 찾아냄
리눅스에서 NFS를 통한 NAS 마운트 시 디렉토리 소유자 정상출력방법
·
Linux/Trouble shooting
NAS를 할당하는 스토리지 상의 NFS 버전과 클라이언트 상의 NFS 버전을 동일하게 맞춰줘야 소유자가 nobody로 보이는 현상이 없다.마운트 시에 서버에서 사용 된 NFS 버전은 cat /etc/mtab or mount 명령어로 알수있다.일반적으로 서버는 ver=3 ver=4를 모두 사용할수 있으므로 서버에서 옵션을 줘서 NAS의 NFS버전에 맞춰 마운트예 : mount -t nfs -o ver=3 x.x.x.x:/path/from /mount_point
계정 Lock
·
Linux/Trouble shooting
pam_tally2 -u 계정 : 계정 잠겼는지 확인pam_tally2 -u 계정 -r : 계정 초기화chage -E -1 -M 99999 계정 chage-m 7 : 암호 변경일 이후 최소일자 7-M 99999 : 암호 변경일 이후 최대일자 99999-E -1 : 만료되는날짜 지정-d 2024-12-12 : 암호변경일 지정-W 7 : 암호 변경 경고일 7 지정
var/log/messages 필터링
·
Linux/Trouble shooting
/var/log/messages에 계속해서 삭제 된 볼륨이 log로 찍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관제가 지속적으로 울렸다.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2가지가 있다.1. vi /etc/rsyslog.conf설정파일 중간 쯔음에 *.info;mail.none;authpriv.none;cron.none;local6.none /var/log/messages 바로 위에 아래 문구를 삽입한다.:msg, contains, “sdi” ~ : sdi가 포함된 문구는 messages로그에 안찍히도록 하는 설정:msg, contains, “sdb” ~:msg, contains, “sdh” ~이후 service rsyslog restart  2. vi /etc/rsyslog.d/ignore.conf:msg, contains, “s..
LV mount가 안되는경우
·
Linux/Trouble shooting
서버를 기동했는데, /data 디렉토리가 마운트가 안되는 경우였음/etc/fstab에 /dev/mapper/vg_data-lv_data로 설정되어있는데 /dev/mapper 들어가보니 mpath 관련파일 밖에 없는것왜 없나 확인해보니 lvmdiskcsan → vgscan → lvscan 하니까 /dev/mapper밑에 vg_data-lv_data가 생겼다.mount -a
kdump
·
Linux/Trouble shooting
kexec(베이스) : 커널 패닉 발생 시 BIOS를 거치치 않고 빠르게 Secondary Kernel로 부팅시키는 역할 kdump : 커널 패닉이 발생한 당시 시스템 메모리 상태를 vmcore파일 형태로 생성 Secondary Kernel 이미지를 준비한적이 없다?⇒ 기본적으로 “/boot” 디렉토리에 initramfs*.img가 준비되어있다 커널 패닉이나 OS 행시 해당 부팅 이미지를 통해 로딩이 된다. Kdump 설정 파일kdump의 설정 파일을 기준으로 kdump작업이 진행 된다. 기본설정은 전부 주석 처리 되어있고 2개만 활성상태  ** OS를 처음 설치하고 kdump가 fail이 발생할수 있는데이런 경우는 자신의 서버 메모리가 2G이하인데 crashkernel 값이 auto로 잡혀있기 때문, ..
DB insert 쿼리 지연 시
·
Linux/Trouble shooting
여러 사유가 있을 수 있음서버 부하, 네트워크 지연 등DB 성능문제, 대용량 데이터 처리, 인덱스 오버헤드(많은 index가 있을 경우), Lock 경합 등지연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를 사용하여 서버부하, 네트워크 트래픽, 디스크 I/O, 메모리 사용량 등을 확인
Disk 읽기 쓰기 속도
·
Linux/Trouble shooting
ddif : 입력파일 count : 반복횟수of : 출력파일 bs : 블럭사이즈 쓰기#dd if=/dev/zero of=/data1/testfile count=1000 bs=1MB→ 0x00값으로 1MB를 1000번 반복하여 1GB testfile 생성 읽기#dd if=/data1/testfile of=/dev/zero bs=1MB
Disk read Only
·
Linux/Trouble shooting
cat /proc/mounts : ro 확인umount /data (안될시, fuser -ck /data)e2fsck -pv /dev/mapper/lv_datamount /dev/mapper/lv_data /data ##HW 디스크(/dev/sdc) 교체작업 전에 fstab에서 해당 디스크를 주석처리 하는것이 안전하다.디스크 교체 후 fstab 주석풀고 mount -a 하는것이 정석